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로페이 사용법

반응형

소비 줄이기를 첫 번째 재테크로 꼽으시는 분들이라면 지역화폐 사용에 대해서 많이 들어보셨을 것 같습니다. 지역화폐보다 조금 더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게 바로 제로페이인데요. 오늘은 제로페이의 사용법, 가맹점, 결제수단, 혜택, 모바일 상품권 구매처 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로페이 가맹점

지역화폐나 제로페이 두 가지 모두 결제 시 금액의 10%를 추가 적립해준다거나 10% 할인 해주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서비스들 입니다. 금전적인 측면에서는 두 가지가 거의 똑같다고 느끼실 텐데 제로페이가 조금 더 많은 혜택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로페이 가입하기

 

제로페이는 소상공인들의 결제 수수료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민관이 합작해서 출시한 모바일 간편결제시스템입니다. 제로페이를 통해 소상공인들은 결제 수수료 면제 혜택을 보고, 소비자는 10% 저렴한 가격으로 재화에 대한 결제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제로페이 사용법

제로페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로페이 또는 비플제로페이를 검색한 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줍니다. 다운이 완료되면 앱을 실행한 후 제로페이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제로페이로 결제할 가맹점의 QR코드를 촬영하고 결제금액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결제가 완료됩니다.

 

비플제로페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품권을 구매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서울사랑, 온누리 등 정부가 발행하는 할인 상품권을 모바일 앱으로 통해서 구매해야합니다.

 

모바일상품권 구입 및 결제를 먼저 진행하시고 원하는 액수만큼 입력하신 다음 좌측하단에 있는 구매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제로페이는 제로페이가 등록되어 있는 가맹점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제로페이 가맹점은 지맵 Z-MAP 이라는 어플을 통해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해당 어플을 다운 받으신 뒤 사용하길 원하는 매장을 검색하면 한 번에 검색할 수 있습니다.

 

제로페이 가맹점 찾기

Z-MAP 다운로드

 

이외에도 사업장을 포털에 검색했을 때 제로페이 가맹점 마크가 있다면 제로페이를 통해 결제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에서는 사업장 출입문에 대부분 제로페이 가맹처라는 마크가 붙어 있어서 한 눈에 알아보기 쉽습니다.

 

제로페이를 사용하는 사업장에는 음식점, 의류, 식육, 생활용품, 마트, 문구, 미용실, 부동산, 분식 등등 거의 모든 업종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제로페이 사용처를 찾는 것은 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제로페이를 통한 결제는 은행이나 간편결제 앱을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은행사 어플의 경우 하나원크, 국민리브, 신한솔, 콕뱅크, 올원뱅크 등의 총 18개 어플에서 결제 가능합니다. 

 

 

간편결제 어플의 경우 제로, 페이코, 시럽, 핀쿠, 비플제로페이 등 19개의 어플을 통해서 결제하실 수 있습니다. 

 

제로페이 모바일 상품권

상품권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지역마다 사용할 수 있는 상품권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지역에 맞게 상품권을 구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울사랑 상품권, 전남 강북 충북 사랑 상품권, 경남 지역사랑 상품권, 소비 활성화 상품권 등등 다양한 지역의 상품권으로 나누어져 있고 농축산물이나 수산물 할인 상품권도 따로 준비되어 있습니다.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은 월 50만원의 한도가 있습니다. 한도 내에서 충전이 가능합니다. 만약 50만원 모두 충전하시길 원하신다면 10% 할인된 45만원에 구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상품권을 충전할 수 있는 금액도 다양합니다. 5천원권, 1만원권, 3만원권, 5만원권, 10만원권으로 구분되어 있고 복수선택으로 원하는 액수에 맞춰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화폐와 제로페이 두가지를 함께 사용하신다면 금전적으로 더 많은 혜택을 보실 수 있는데요. 제로페이로 월 50만원을 사용하시고 추가로 지불하는 금액들은 지역화폐를 이용하시면 총 10%의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제로페이 현금영수증

제로페이가 현금을 사용하는 것 같은 인식이 강한 탓에 현금연수증에 대한 궁금증도 많이 있으신데요. 제로페이의 경우 현금영수증을 발행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제로페이는 체크카드와 동일한 결제 수단으로 인정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제로페이로 결제하는 것은 체크카드로 결제하는 경우와 동일합니다. 따라서 모든 소비기록이 남는 것이기 때문에 따로 현금영수증에 대해 신경 쓰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제로페이 혜택

제로페이는 은행 또는 결제사 앱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사용처에서 결제수단에 제로페이가 지불수단으로 등록되어있는 경우라면 제로페이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전국 가맹점에서 사용가능합니다. 지역화폐는 해당 지역 내에서만 적용되는 반면 제로페이는 전국 어디서나 제로페이 가맹점이라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범위가 타 서비스보다 훨씬 넓습니다. 

 

문화시설과 관광시설에서 할인 혜택이 큰 폭으로 적용됩니다. 또한 모바일 온누리상품권과 지역상품권도 등록 후 사용이 가능합니다. 제로페이를 사용하는 가맹점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꽤 많은 곳에서 제로페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서울은 제로페이를 사용하는 곳이 무척 많습니다.

 

 

반응형